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오늘 본 상품 0

없음

[6/16까지][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 블록체인ㆍ정보보호 기업 기술특례상장 컨설팅 지원기업 모집 공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Jericho 댓글댓글 0건 조회조회 1회 작성일작성일 25-08-23 06:04

본문

​※ 블록체인 컨설팅 미 Circle 스테이블코인 ‘1300조 탄소배출권 시장’에 활용, 한국도 추진 (파이낸셜뉴스, 2025. 06. 25)​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써클이 운영하는 USDC가 실제 탄소배출권 거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디지털 자산이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시장과 접점을 넓히고 있다.전문가들은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금융과 디지털 자산 시장을 잇는 결제 인프라로, 특히 탄소배..​스테이블 코인 발행사인 Circle이 운영하는 USDC가 실제 탄소배출권 거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디지털 자산이 온실가스 감축 시장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음. ​블록체인업계에 따르면,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상의 디지털 토큰 형태로 전환하는 ‘토큰화’는 실제 존재하는 자산(탄소배출권, 미술품, 금 등)을 디지털화하여 거래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자산의 유동성과 접근성을 높이고 분산원장기반의 투명한 정산 및 추적을 가능하게 함. ​USDC는 토큰화 된 탄소배출권과 결합해 디지털 환경에서도 신뢰 가능한 결제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음. ​미국, 일본, 호주, 싱가폴 등 많은 국가에서 탄소배출권과 디지털 결제 수단을 연계하고 있으며, 중국은 탄소배출권을 ‘물권에 준하는 담보자산’으로 인정, 실제 금융기관에서 담보자산으로 활용하고 있음. ​한국 또한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과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준비 중이며, 이를 기반한 RWA(실물자산 토큰화)를 추진 중임. RWA의 핵심 자산군은 탄소배출권, 미술품, 금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 중 탄소배출권은 가장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평가받고 있음. ​전문가들은 특히 탄소배출권 처럼 실물 기반이 강한 자산군이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탄소배출권을 포함한 RWA 시장 확대를 통해 디지털 탄소금융의 중심지로 도약할 기회를 맞고 있음. ​​​​※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블록체인으로 연 28% 성장 중 (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안전지원본부 신기술안전단 블록체인정책팀, 2025. 06. 셋째 주) ​블록체인 플랫폼은 불변한 기록과 탄소배출권 출처의 실시간 검증을 제공하는 핵심 인프라로 부상 중에 있음. ​최신 트렌드는 서로 다른 관할권 간 탄소배출권을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는 상호운용성 블록체인 플랫폼의 도입이며,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로는 탄소 배출권을 토큰화하는 Toucan Protocol이 있음. ​분산원장기술 활용으로 투명성, 추적성, 효율성이 강화된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2025년 규제 압박과 기업 넷제로 공약, 이중계산/사기 방지 필요성 등으로 가속 성장세를 보이는 중. ​​1. 탄소 상쇄 시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기업 넷제로 공양에 따라 수요 증가로 급성장 중이며, 투명하고 신뢰가능한 거래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거래는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하여 탄소배출권 발행, 이전, 폐기 과정의 투명성, 추적 가능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임.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시장은 탄소 상쇄 거래에서의 이중 계산과 사기 방지를 위한 신뢰를 갖춘 체계 필요성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2023년 글로벌 기준, 자발적 탄소 시장 규모는 20억달러를 넘어섰으며 신뢰할 수 있는 탈탄소 거래의 필요성에 따라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 ​​2. 블록체인은 탄소배출권 발행, 추적, 거래 전 과정의 무결성과 실시간 검증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기업과 표준기관들이 이를 핵심 인프라로 도입하기 시작.​블록체인 플랫폼은 변경 불가능한 기록과 탄소배출권 출처에 대한 실시간 검증 기능을 제공하면서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음. IBM의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레지스트리와 탄소배출권을 토큰화 하여 탈중앙화 거래를 구현한 Toucan Protocol이 있음. ​파리협정 제6조 시행 등으로 디지털 MRV(모니터링, 보고, 검증) 시스템 활용 장려,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기존 탄소 등록부 간 상호운용성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발전 등으로 관련시장이 성장하고 있음. ​Verra와 Gold Standard 등 주요 기관들은 자체 레지스트리의 신뢰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 통합을 적극 모색 중에 있음. ​​3. 토큰화, 상호운용성, 스마트계약, AI/IoT 연계 등 기술적 진화는 블록체인 기반 탄소 시장의 투명성과 유동성,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빠르게 상업화되고 있음.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30%를 넘길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은 글로벌 탄소 시장의 확대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지원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 ​탄소시장에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면서 탄소배출권의 발행, 추적, 거래 방식이 변화하고 있음. 중요한 추세 중 하나는 상호운용 가능 블록체인 플랫폼의 도입으로, 서로 다른 탄소 등록부와 관할권 간에 탄소배출권의 원활한 교환이 가능해지고 있음. ​Toucan Protocol과 같은 탄소배출권 토큰화는 유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전 세계 구매자와 판매자가 보다 쉽게 거래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 ​스마트 계약은 이중 집계 및 사기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행정적 부담을 줄여주고 있음. ​전통적인 탄소 등록부 및 표준 인증 기관들도 블록체인 영역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음. 세계 최대 탄소 표준 인증기관 중 하나인 Verra는 검증 탄소 단위(VCU)의 블록체인 기반 추적 및 폐기를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발표하였음. Gold Standard는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하여 자사 크레딧의 추적성과 무결성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음. ​IBM, Microsoft 등은 자사의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의 하나로 탄소시장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에 투자중임. ​규제 명확성이 개선되고 신뢰성이 높은 탄소 상쇄 크레딧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 확장성, 기존 탄소 등록부와의 통합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탄탄한 블록체인 인프라와 탄소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파트너십과 결합한 업체들이 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4.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시장은 연평균 55%의 성장률을 보이며 25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Markets&Markets에 따르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글로벌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시장은 연평균 약 5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시장은 추적성, 낮은 거래비용, 시장접근성 등의 장점으로 전통적인 탄소플랫폼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분석됨. ​규제 탄소시장 참여자의 빠른 유입과 토큰화 된 탄소 자산의 확산에 힘입어,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시장은 2030년 25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거래되는 탄소배출권 물량도 2030년 블록체인 컨설팅 3억톤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 (2025년 기준 3천만 톤 미만)​탄소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은 다음과 같음. 1) Gold Standard, Verra 등 주요 레지스트리의 블록체인 채택 확대2) 기업들의 넷제로 공약(RE100) 및 ESG 의무에 따른 신뢰가능한 크레딧과 투명한 거래 기록에 대한 수요 3) Toucan Protocol, KlimaDAO 등의 탄소배출권 토큰화로 탄소 시장에 대한 접근성 확대 및 크레딧 분산 소유화를 촉진​​5. 블록체인은 탄소 시장의 주류 기술로 자리잡아 탈탄소 경제 전환의 핵심 축이 될 전망. ​EU의 배출권 거래제(EU ETS)는 크레딧의 추적성 강화와 이중 집계 방지를 위한 블록체인 파일럿 프로젝트를 검토 중에 있음. ​유럽의 기후 목표와 유럽 그린딜은 분산형 탄소 추적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영국도 EU표준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자체 블록체인 기반 탄소 시장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 ​싱가폴은 AirCarbon Exchange와 같은 블록체인 탄소 거래 플랫폼을 끌어들이고 있음. ​중국은 자국 탄소 시장에서 허가형 분산원장 기술을 시범운용하고 있음. ​라틴아메리카나 아프리카 등도 풍부한 산림 및 토지 기반 탄소 상쇄 잠재력을 지닌 국가들을 중심으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거래는 기술 혁신, 규제 진화, 늘어나는 기업들의 RE100과 맞물려 형성되고 있으며, 블록체인 플랫폼의 투명성, 이중 집계 방지, 시장 효율화로 인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출처 : NOTICIAS, ‘Blockchain-Based Carbon Credit Trading Market 2025 : Surging 28% CAGR Driven by Transparency &ampGlobal Climate Initiatives’ (2025. 06. 12)​​​​※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접근 (한국인터넷 증흥원 디지털안전지원본부 신기술안전단 블록체인정책팀, 2025년 5월 넷째주)​블록체인은 효율적인 에너지 거래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인프라 기반 기술로 각광받고 있음. 특히 개발도상국과 같은 전력 소외 지역의 에너지 접근성 향상효과가 기대됨. ​글로벌 에너지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에너지 생산, 소비 주체 간 거래, 스마트 그리드운영, 재생에너지 검증, 접근성 확대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전환과 디지털 인프라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음. ​​1. 블록체인은 개별 소비자가 직접 전력을 생산하고 거래할 수 있는 구조를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중앙집중형 유틸리티 시스템을 분산형 에너지 거래 생태계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 제반을 제공함. ​블록체인 기술은 개별 가정이 태양광 등으로 생산한 잉여 전력을 중개 기관 없이 다른 곳에 직접 판매할 수 있는 탈중앙화 된 거래 구조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기존 전력 시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 방식임. ​호주의 Power Ledger나 미국 브루클린의 Microgid 같은 프로젝트들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P2P 전력거래가 이미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였음. 해당 프로젝트에 따르면, 거래된 전력 가격은 기존 유틸리티 요금보다 평균 43% 낮았으며, 이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 구조가 실질적인 요금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입증함. ​블록체인은 거래 조건이 미리 설정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전력거래가 이뤄지도록 하며, 이는 거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고 행정 절차를 크게 줄이는 역할을 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지역 단위 전력 마이크로그리드 구조는 송전 거리를 줄이고 지역 내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거래 시스템은 소비자를 에너지 생산자이자 거래 당사자로 전환시켜, 에너지 시장의 구조를 사용자 중심으로 재편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함. ​​2. 블록체인은 신재생에너지의 생산과 진위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탄소배출권 거래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장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잡고 있음. ​스페인의 재생에너지 기업 Acciona는 GreenH2chain이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여 수소 생산 이력 전체를 변경 불가능한 형태로 기록하고 이를 고객이 직접 검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Acciona는 블록체인을 탄소배출권 거래에도 활용하여 탄소 감축 성과의 신뢰성 및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있음. ​REC는 특정 전력이 친환경 에너지에서 생성되었음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인증서의 발급, 유통, 거래 과정에서 위변조 위험 없이 투명하게 관리가 가능함. 또한 REC를 디지털화하고 토큰화 함으로써 REC를 누구나 구매하거나 거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친환경 에너지를 토큰 단위로 표현하고 이를 블록체인에서 추적 가능하게 설계하면, 향후 다양한 디지털 에너지 상품으로 확장하거나 국제적인 거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 ​​3. 블록체인은 복잡한 전력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음. ​현대의 전력망은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분산형 에너지원이 다수 접속되면서 예측 가능성과 제어 효율이 떨어지고 있으며, 이를 실시간으로 조율하는 통합 관리 체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된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생산, 소비 정보를 실시간 공유, 기록할 수 있어, 분산형 자원의 연계성과 제어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되고 있음. ​미국의 Grid+는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각 가구의 전력생산 및 소비 데이터를 자동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적 요금 설정과 부하 분산이 가능한 지능형 전력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음. ​스마트 계약을 통해 조건 기반의 전력거래 자동화가 가능함. 예를 들면, 전력 저장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자동 판매되거나, 요금이 특정 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 자동 충전이 실행 됨. ​상기 구조는 단순한 P2P 전력거래를 넘어, DR(demand Response) 기능을 분산형 환경에서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세분화된 수급 균형 조정이 가능한 기반을 제공함. ​블록체인과 연동된 스마트 미터는 소비자의 실시간 전력데이터를 자동 기록하고, 계약 조건에 따라 청구 및 정산이 자동화되어 시스템 운영비용이 절감되고 정확성이 향상됨.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운영은 전력망 사업자 또는 지역 커뮤니티가 전력 흐름을 시각화하고 예측,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전체 전력망의 안정성과 회복 탄력성을 블록체인 컨설팅 제고하는 데 기여함. ​​4. 블록체인은 전력 인프라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최소한의 장비만으로 에너지 거래와 요금 정산을 가능하게 함. 개발도상국과 소외 지역에서 실용적인 에너지 접근성 확대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음. ​송전망 기반 전력 인프라 구축에 큰 비용이 들지만, 블록체인은 중앙 서버 없이도 거래 기록과 정산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망 구성으로 전력 인프라를 구현할 수 있음. ​탄자니아의 Irene Energy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주민들 휴대전화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소액 단위로 전기 요금을 지불 할 수 있는 에너지 거래 플랫폼을 구축하였음. 도입 2년 만에 약 4만명의 사용자가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 ​​5. 블록체인은 에너지 거래 및 운영 과정의 비용 절감, 거래 투명성 확보, 보안성 강화에 동시에 기여하며, 차세대 에너지 인프라의 핵심 구성요소로 부상하고 있음. ​기존 전력 시스템은 복잡한 유통 경로, 중개자의 개입, 중앙집중형 데이터 관리 등으로 과도한 운영요금이 발생하고 요금 구조 또한 불투명한 경우가 많음. ​블록체인은 모든 전력 거래 기록이 분산된 디지털 장부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참여자 모두가 동일한 정보를 검증 가능하므로, 거래 전과정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스마트 계약을 활용하면 수요자와 공급자 간에 사전 정의된 조건에 따라 전력 거래가 자동으로 체결, 정산되므로 중개 기관이나 수작업을 통한 계약 이행 절차 없이 에너지 거래가 간소화되고, 이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음. ​이러한 구조는 소비자가 자신의 에너지 데이터 거래 권한을 직접 통제할 수 있으며, 제 3자의 승인을 거치지 않고 에너지 자산을 거래하거나 인증할 수 있는 권한 중심 모델을 가능하게 함.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시장에서는 공급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어 전력 공급을 협의, 거래하게 되므로 중개 수수료나 거래 마진이 제거되며, 이러한 변화는 시장 내 가격 경쟁을 촉진하고, 참여자별 맞춤형 요금제 적용과 같은 유기적 생태계 구축을 실현 할 수 있음.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은 단순히 비용 절감을 넘어, 에너지 유통과 거래 전반에서 신뢰 기반 디지털 구조를 실현하여 차세대 에너지 생태계 구축에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음. ​자료출처 : Blockchain Magazine, ‘Blockchain for Energy Building a Smarter, Greener Future.” (2025. 05. 10)​​​※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의 혁신 (스테이블코인,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실행, 탄소정책을 강화하는 신정부의 출범)​탄소배출권 시장이 스테이블코인의 주요한 활용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미국의 스테이블코인인 USDC가 실제 탄소배출권 거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고 탄소배출권의 토큰화로 새로운 투자시장을 형성해 가고 있습니다. ​더욱이 얼마전(2025. 05. 27)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개정안이 최종 승인되어, 2026년 1월부터 EU 탄소국경세(CBAM)가 시행될 예정으로 탄소배출권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탄소국경세 대상인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등을 많이 생산하는 나라로 탄소배출권이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2026년 EU의 CBAM 시행 첫해에만 국내 철강업계는 약 851억원의 추가 비용이 예상되며, 그 규모는 해마다 커질 예정입니다. ​한국 또한 2026년 제4기 배출권 거래제(K-ETS)개시를 앞두고 있으며, 유상할당 확대, 탄소 배출감축목표 상향 등 이재명 정부는 탄소중립 정책을 빠르게 강화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국내외적으로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커질 것으로 보이며,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 사용의 확대, EU의 탄소국경세(CBAM)시행, 국내에서 탄소정책을 강화하는 새로운 정부의 출범 등 해당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의 혁신 (Today People, 2024. 12. 23)탄소 시장의 한계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 시장은 거래 과정에서 투명성과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배출권 발행...​○ 기존 탄소시장의 한계​기존 탄소배출권 시장은 거래과정에서 투명성과 신뢰성이 부족함. 배출권 발행과 거래 기록이 중앙화 된 시스템에 의존하면서 데이터 조작 가능성이 존재하고 관리 효율성도 떨어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이 주목받고 있음. ​​○ 블록체인의 탄소 시장 혁신 방식​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 거래의 투명성, 거래 과정의 자동화, 국경을 초월한 효율적 거래가 가능해짐.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를 분산원장에 기록하여 데이터를 누구나 열람하고 검증할 수 있게 해줘 데이터 조작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며, 배출권의 사용 이력을 명확히 추적할 수 있음. ​스마트계약 기능도 블록체인의 장점임. 거래가 자동화되면서 중개자의 개입이 줄어 비용 절감과 효율성 극대화가 가능해짐.국경을 초월한 거래 역시 간편해져 각국의 탄소 시장을 통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 글로벌 사례와 한국의 현황 ​IBM과 Veridium은 배출권을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하여 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음. Energy Web Foundation은 재생에너지 인증서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크게 강화했음. ​국내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탄소배출권 거래 플랫폼 시범사업이 추진되고 있음. (블록체인 활용 부산항만 탄소중립 플랫폼 구축사업, 한국은행의 CBDC "프로젝트 한강"의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플랫폼)​​○ 변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의 위치​블록체인은 탄소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핵심기술로 자리잡고 있으며, 한국은 이미 ETS(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음. ​탄소 배출권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하게 되면, 국제적 신뢰도와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가능성이 큼. 효율적 데이터 관리와 거래 자동화는 기업들의 수익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탄소 시장 운영 방식 자체를 재정의할 수 있게 해 줌. ​블록체인이 만들어내는 투명성과 효율성은 단순히 탄소시장의 기술적 진보가 아니라, 기후 위기 해결과 지속 가능한 경제로 가는 길을 가속화하고 있음. ​이 흐름을 주도하는 국가가 미래의 경쟁력을 결정할 것임. ​​​​※ 떠오르는 탄소시장, 블록체인 블록체인 컨설팅 융합의 기회 (Hashed Open Research, 2024. 02. 06)​● Executive Summary​현재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주로 시행되는 제도는 탄소세 부과와 배출권거래제임. 배출권거재제는 정부가 기업 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할당하고 기준 대비 잉여 또는 초과 배출되는 부분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임.​한국의 탄소 배출권거래제는 국내 탄소배출량의 70%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커버리지가 높으나, 글로벌 관점에서는 2023년 각국의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는 전 세계 배출량의 23%만을 차지하고 있음. 때문에 현행 방식으로는 배출 감축 목표를 이행하기 어려워, 민간 영역에서 탄소크레딧을 발행해 배출을 상쇄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음. ​맥킨지에 따르면,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가 2021년 20억 달러에서 2030년 50 – 3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하지만 자발적 탄소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검증 및 신뢰성 문제로 비판을 받아 왔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AI를 적용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음. ​국제결제은행(BIS)은 2022년 10월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IoT를 활용해 그린본드와 탄소크레딧을 결합한 토큰화 된 본드를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하였음.​​​1. 탄소시장에 주목하는 이유 ​○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 2030년까지 5배 성장 전망​(자발적 탄소시장이란?)자발적 탄소시장(VCM, Voluntary Carbon Market)은 기업들이 자신들이 배출한 탄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쇄시키기 위해 탄소 크레딧을 구매하는 시장​Shell, 보스턴컨설팅, McKinsey &ampCompany 등이 전망한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는 2021년 약 20억 달러에서 2030년 300 – 5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McKinsey &ampCompany는 파리협약에 따라 2030년까지 감축해야 할 탄소배출량 규모를 230억톤으로 추정하였음. 이러한 공격적인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 자체적인 감축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기업 외부 영역에서 탄소를 제거한 후 발행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감축 목표를 달성해야 함. ​​○ 자발적 탄소시장, 현재는 규모가 미미하지만 향후 성장 기대​World Bank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정부 주도의 탄소배출권거래제(ETS)와 탄소세(Carbon Tax)가 커버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 116.6억 톤으로 전체의 23%였음. MSCI에 따르면 만료 기준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한 배출량 감축은 연 1.78억 톤으로 규제시장의 온실가스 커버리지(ETS+탄소세)의 1.52%에 불과. ​한국의 경우 ETS만으로 74%의 높은 커버리지율을 기록해 자발적 탄소시장 필요성이 적지만, EU는 ETS의 커버리지가 41%에 불과해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VC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EU, 2026년부터 역내 수입 철강 등에 탄소국경세 부과​EU는 2023년 4월 25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법안을 최종 승인하였음. (2025년 5월 CBAM 개정안이 최종 승인되어 계획대로 2026년 1월 시행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져 있습니다.)EU로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기, 수소를 수출하는 기업들은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만큼 CBAM인증서를 구입해야 함. ​EU는 탄소 배출권거래제(ETS, Emission Trading Schemes)를 통해 회원국 내 탄소배출 감축을 유도했는데, 수출국의 느슨한 기후 정책을 사실상 무역 보조금으로 비판하며 해당 법안을 도입하였음. ​​○ CBAM 전면 도입 시 국내 산업 부담액 8조원 이상​2022년 기준 한국의 대 EU 수출액은 681억 달러였으며, 이 중​ CBAM 대상 품목 수출액은 51억달러로 EU 수출액의 7.5%를 차지​하였음. ​국회 미래연구소에 따르면 탄소국경조정제도가 전면 도입될 경우 국내 산업 부담액은 약 8조 2,456억원으로 EU 수출 예상액의 11.3%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되었음. ​이번 EU 안에서는 플라스틱, 유기화합물은 부과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추후 잠재적으로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미국 또한 석유화학제품 등을 대상으로 탄소국경세 부과 방안을 추진 중에 있음.영국도 2027년부터 탄소배출 집약적상품(철강, 알루미늄, 세라믹, 시멘트)에 대해 탄소국경세를 부과하기로 하였음. ​​○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 선진국 대비 특히 높음. 파리협정에 따라, 한국은 2018년 배출량 대비 2030년 40%에 달하는 감축이 필요함. 하지만 한국은 다른 국가와 다르게 탄소 배출량이 오히려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2050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급격한 감축을 단행해야 함. ​정부는 시행중인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시장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유상할당비중 상향, 신규 금융기관 참여, 선물시장 개설, 배출권 ETF 출시 등을 예고하고 있음.​​2.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배경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가 1.5도 상승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이산화탄소 순배출량이 0 (Net Zero, 탄소중립)이 되는 시기를 계산한 결과 그 시기가 2050년으로 도출되었음. ​(탄소중립이란?)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으로, 1) 화석연료 연소와 수송 등 인위적 배출량을 0에 가깝게 감소2) 숲복원, 탄소제거기술(Negative Emissions Techniques) 등으로 흡수량을 증가시켜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듦. ​​○ 왜 1.5도인가? ​IPCC는 ‘2018년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서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2도, 1.5도 이내로 제한할 때의 기후변화를 분석했음. ​1.5도로 제한될 경우, 여름철 북극권 얼음이 완전히 녹는 사건이 100년에 한번 발생하나, 2도일 때는 10년에 한번으로 빈도가 대폭 높아짐. 2도 상승시에는 북극의 영구동토층이 녹게 되는데 이 경우 얼음 속에 있던 탄소가 대량으로 방출되어 지구 온난화가 증폭됨. 영구동토층 내 탄소량은 대기 중 탄소량의 두 배 가까운 양이라는 연구도 있음. ​지구 온도가 2도 상승할 경우, 1.5도 대비 해수면이 약 10cm 높아지며, 생태계 멸종 개체수가 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불부족에 시달리는 도시 인구수가 1.5도 상승 시 3.5억명이나 2도에서는 50% 더 증가함. 아프리카 옥수수 생산량이 절반으로 줄고 서남아시아 국가 대부분은 불모지가 될 것이라는 전망. ​​3. 탄소시장 개요탄소배출권시장은 크게 정부 주도의 규제적 탄소시장(CCM, Compliance Carbon Market)과 민간 및 다양한 참여자가 참여하는 자발적 탄소시장(VCM, Voluntary Carbon Market)으로 나뉨. ​규제시장은 탄소감축 의무가 있는 규제 대상 기업에게 탄소 배출량에 일정한 세금을 부과하거나(탄소세), 배출량 목표를 할당하고 할당된 배출량의 부족분에 대해 배출권을 거래하도록 한 시장임. (배출권 거래제)규제시장 참여자는 할당량(Allowance)을 거래할 수 있으나 새로운 할당량 창출은 불가함. ​자발적시장은 탄소감축 의무가 없는 기업, 기관, NGO 등 다양한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블록체인 컨설팅 배출권을 생성하고 이를 거래하는 시장임. 규제시장에서는 비대상 기업의 거래가 제한되며 배출권 거래 물량도 한정적이므로 시장규모와 확정성에 한계가 있음. 때문에 효과적인 탄소배출 억제를 위해서는 자발적 시장의 역할이 중요함. ​​○ 규제시장 탄소가격제 ​1) 탄소세 (Carbon Tax)​World Bank에 따르면 2023년 3월 기준 탄소세를 도입한국가는 27개국임. 미국은 하와이에서 2014년에 탄소세를 도입 적용 중이며, 연방정부 차원의 탄소세나 배출권 거래제는 도입하지 않고 있음. ​탄소세는 직접적인 비용 부과로 기업과 소비자의 부담이 커질 수 있고 배출 총량이 얼마나 줄어들지 예측하기 어려움. ​​2) 배출권거래제 (ETS, Emission Trading System)배출권거래제는 국가에서 기업별 배출총량(Cap)을 정하고 이를 배출권(Allowance)으로 할당하여 배출 허용량 대비 잉여 혹은 초과 배출 부분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임. ​할당량은 정부가 무상 지급하거나 경매로 제공되며 한 해 동안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한 후 할당량보다 실제 배출량이 많은 경우 부족분을 구매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판매하거나 다음해를 위해 예치할 수 있음. 배출량만큼 할당량을 제출하지 못하면 초과 배출량 1톤 당 일정 금액의 벌금이 부과됨. ​배출 총량을 정부가 계획하고 실행하여 목표 감축량을 알 수 있으나 무상할당량 비율, 경제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가격 변동성이 크고 국가별로 가격 차이가 큼. ​한국은 배출권거래제를 전국 단위로 시행 중에 있는 12개 국 중 하나이며, 도쿄, 캘리포니아 등 23곳은 지역 단위로 운영 중에 있음. ​​○ 글로벌 탄소배출 ETS &amp탄소세 커버리지​2023년 글로벌 탄소배출량의 23%는 ETS와 탄소세로 커버되고 있음. ETS가 18%, 탄소세가 5.5%를 차지함. ​​○ 한국 탄소 시장​배출권거래제 개편으로 시장 참여자 확대, ETN 등 금융상품 출시 허용 예정. ​2021년 한국정부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2030년 40% 감축을 목표로 하는 국가목표 상향안을 발표하였음. ​한국은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를 시행 중에 있으며,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74%를 담당하고 있음. ​현재 속도로는 2030년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정부는 탄소배출권거래제의 몇 가지 사항을 개편하기로 하였음. 현재 10%에 불과한 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높여서 시장 기능을 개선하고 배출권 시장 참가자 확대, 선물시장 개설 등을 계획 중임. ​배출권 시장 참여 금융회사는 증권사로 한정되어 있으나 향후 자산운용사 등으로 확대하고 개인투자자 참여도 허용할 계획임. 탄소배출권거래제 대상 기업들은 탄소배출권을 주식처럼 증권사를 통해 거래가 가능해짐. 대상 기업끼리 직접 거래해야 했던 이전 대비 거래 편의성과 유동성이 개선될 전망. ​배출권 선물시장도 2025년 개설해 가격 헷지 기능을 제공하고 배출권 관련 ETF 및 ETN 출시도 허용할 예정임. 한국 배출권거래제는 한국거래소(KRX)가 배출권 거래소로 지정되어 있음. 할당배출권(KAU), 상쇄배출권(KCU), 외부사업인증실적(KOC) 3가지 종목이 거래 중에 있음. 2021년 총 거래대금은 1조 2,666억이었으며, 종목 별 거래량 비중은 할당배출권이 82%, 상쇄배출권이 15%였음. ​상쇄배출권은 국제적인 기준에 따라 사업장 밖에서 온실가스를 감축, 흡수 또는 제거해 정부로부터 인증 받은 감축실적을 배출권으로 전환한 것. ​SK 등 11개 기관이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 연합을 구축하였음. SK가 구상한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 구조는 기술기반 탄소감축 프로젝트를 기업이 제출하면 대한상공회의소가 EPC(환경보호크레딧)을 발행하고 탄소배출권이 필요한 기업이 EPC를 구매하고, 탄소감축 기술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인증센터가 EPC를 탄소배출권으로 교환해주고 사용된 배출권은 최종 소각되는 구조임.​​4. 자발적 탄소시장 (VCM) ​자발적 탄소시장(VCM, Voluntary Carbon Market)은 규제적 탄소시장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시장으로 정부와 규제기관의 직접적인 감독을 수반하지 않음. ​공신력 있는 비정부 기관에서 탄소 크레딧을 발행하고 기업이나 국가는 자신들이 배출한 탄소의 일부 혹은 전부를 상쇄(Carbon Offset)하기 위하여 탄소 크레딧을 구매. ​​○ 자발적 탄소시장 VS 규제적 탄소시장 규모​World Bank에 따르면, 2023년 현재 규제시장(ETS와 탄소세)이 커버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116.6억톤으로 전체 배출량의 23%임. MSCI에 따르면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한 배출 감축분을 1.78억 톤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는 규제시장 온실가스 커버리지의 1.52%에 불과한 미미한 수준임. ​Bloomberg NFP는 2050년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 만료량을 52억톤으로 추산했는데 이는 2023년 전체 탄소 배출량의 10%, 규제시장 커버리지의 45%에 해당하는 양임. ​규제시장을 통해 배출 감축이 어려운 국가들을 중심으로 자발적 탄소시장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 최근 시장 동향넷제로 표준을 서약한 기업의 수는 2021년 1,192개에서 2023년 6,954개로 6배 증가했으나 탄소크레딧 발행은 2021년 2.08억 톤에서 2.77억 톤으로 감소했음. ​넷제로 서약 기업의 수가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탄소 크레딧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지 못한 이유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 때문으로 추정됨. 기업의 관심을 실수요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그린워싱에 대한 우려를 잠재울 수 있는 국제표준과 검증 절차가 필요함. 싱가폴 등 국가들이 탄소세 혹은 탄소배출권 일부를 탄소크레딧으로 지불 할 수 있도록 열어준 것은 자발적 탄소시장을 더욱 확대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음. ​​○ 자발적 시장 탄소 크레딧 발행 프로세스​1) 발행제 3자가 배출량 감축 프로젝트를 확인(Validation, 프로젝트 시작 전 활동 및 계획 승인)하고 검증(Verification, 프로젝트 활동이 구현되었는지 검증)하여 배출량 감소 달성을 정량적으로 증명하는 경우 크레딧을 부여함. ​해외 주요 발행기관으로는 Verra, Gold Standard, Climate Action Reserve 등이 있음. 2022년 기준, Verra가 42%, Gold Standard가 8.2%의 탄소 크레딧을 발행했음. ​2) 등록 발행된 크레딧에 고유한 일련번호가 할다오디어 등록부(Registry)에 기재됨. 탄소 크레딧 소유권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하고 거래 시 이중 청구를 방지함. ​3) 만료탄소 크레딧 최종 구매자가 구매한 만큼 배출량 감소를 청구하면 재판매가 불가하도록 등록부에서 크레딧의 고유 일련번호를 영구적으로 제거함. ​5. 자발적 탄소시장 밸류체인​○ 자발적 탄소시장 참여자​1) 공급자 (Supply-side)공급자는 탄소배출권을 창출하는 프로젝트와 이니셔티브로 구성. 재생에너지 벤처기업, 재조림(Reforestaion) 프로젝트와 기타 탄소 감축 프로그램이 포함 됨. 공급자는 실제 배출량 감축 블록체인 컨설팅 노력을 유형자산으로 창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 ​2) 판매자 (Sales-side)탄소배출권의 거래를 촉진하는 브로커, 트레이더, 마켓플레이스가 있음. 이들은 구매자와 공급자를 연결하고 유동성을 보장하며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 ​3) 수요자 (Buy-side)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기업 및 개인. 탄소배출권에 대한 수요가 VCM의 원동력. ​​○ 자발적 시장 주요 플레이어 1) 탄소 생쇄 개발자 (Carbon Offset Developer)​배출량 감축 또는 제거를 나타내는 탄소배출권을 생성하는 탄소상쇄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구현함. 재조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같은 다양한 활동이 포함됨. 이들은 탄소 상쇄를 의미하는 크레딧을 발행하고, 이를 탄소 배출량을 상쇄하고자 하는 기업에 판매함. ​(대표 기업) South Pole​South Pole은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프로젝트를 전문으로 하는 탄소 프로젝트 개발업체임. ​South Pole은 Verra의 VCS(Verified Carbon Standard)와 같은 엄격한 인증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관리함. 프로젝트 실행 후에는 독립적인 제3자의 엄격한 모니터링과 정기적인 검증을 통해 약속한 배출량 감축 달성 여부를 확인함. ​​2) MRV (Monitoring, Report, Validation)​모니터링, 보고, 검증의 약자인 MRV는 환경 및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한 중추적 프레임워크임. 프로젝트의 환경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관찰/측정(모니터링)하고 결과를 투명하게 문서화하여 공유하며(보고), 독립적인 제3자 검증을 통해 보고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유효성을 보장(검증)하는 과정임. ​디지털 MRV(dMRV)의 출현으로 MRV 프로세스가 더 효율적이고 정확하며 확장 가능하도록 개선되었음. dMRV는 원격 감지, 위성 이미지, 고급 데이터분석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 ​(대표 기업) Mantle Labs ​Mantle Labs는 dMRV 업체로 주로 자연 기반 탄소 상쇄 프로젝트에 중점을 두고 있음. dMRV 프로덕트인 Geotree를 통해, 원격감지, 생지화학 모델링, 데이터과학기술, 포괄적 솔루션 및 라이프사이클 지원 등의 분석을 제공. ​​3) 표준, 등록 및 리스크관리 (Standards, Registries &ampRisk Management)​탄소크레딧에 대한 기준을 인증하고 설정하는 표준 기관은 프로젝트를 검증하고 인증하여 신뢰할 수 있는 탄소크레딧 또는 지속가능성 인증을 발행함. ​(대표기업) Verra​Verra는 탄소 감축 및 제거 프로젝트를 인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표준 기관임. Verra가 프로젝트에 대한 확인을 하면 시장은 프로젝트의 배출량 감축을 신뢰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배출권을 발행하여 사용할 수 있음. ​Verra는 여러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재조림, 재생 에너지, 메탄 포집 등 특정 프로젝트 유형에 맞는 가이드라인과 방법론을 개발함. ​​4) 거래 및 서비스 (Sales &ampService)​탄소시장에서 탄소배출권 구매자와 판매자를 파악하고 탄소배출권 매매를 촉진시키는 중개자 역할을 함. ​(대표기업) Evolution Markets (Xpansiv)​Evolution Markets은 탄소, 재생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 분야의 거래를 주도하고 있음. 업체는 EU ETS(배출권거래제)와 같은 규제 체제를 준수하기 위해 크레딧을 구매하려는 자발적 시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물 및 선도거래, 옵션, 구조화 상품도 지원하고 있음. ​​5) 최종 구매자 (End Buyer)​온실가스 배출량을 자발적으로 상쇄하기 위해 탄소 크레딧을 구매하는 법인 또는 개인. 기업, 탄소 배출량을 상쇄하는 개인과 정부, NGO 등이 포함 됨. ​(대표기업) Netflix​Netflix는 2022년 말을 기점으로 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가 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고, 이를 위해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하거나 직접적인 배출량 감축 안을 실행 중에 있음. ​Netflix는 콘텐츠 제작 및 데이터 스트리밍과 관련된 탄소배출을 상쇄하기 위해 다양한 탄소배출권을 적극 발굴하고 구매하고 있음.​​6. 자발적 탄소시장의 문제점 ​○ 가치 상실의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는 민간 발행 탄소크레딧​현재 자발적 탄소크레딧 시장의 근본적인 문제는 민간 프로젝트에서 다량 발행되어 기업에 판매된 탄소크레딧이 실제로 탄소 감축성과를 바탕으로 발행된 것인지 여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점임. ​자발적 탄소시장은 유연성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표준화된 규정이나 절차가 부재해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발행된 크레딧의 가치가 제대로 검증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극단적으로 기업이 구입한 탄소 크레딧이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기업 또는 프로젝트 투자사들이 장부가치가 0이 되는 사태도 있었음. ​​○ EU, 자발적 탄소크레딧에 대한 검증 강화​2023년 11월 21일 EU는 탄소 제거 정량화, 감시, 검증을 위한 탄소제거 인증제도(CRCF, Carbon Removal Certification Framework) 도입을 승인하였음. EU는 제도 운영 요건으로 1) 국제표준 부합 2) 투명성 보장 3) 대중에게 정보 공개 4) EU 등기소 설립을 통해 그린워싱과 중복계상을 방지할 것을 요구하였음. ​EU는 자발적 인증체계가 보다 널리 사용되고 신뢰할 수 있는 표준을 개발하고자 검증요건을 강화하였음. ​1) EU, 탄소제거 활동 4개 부분 분류, 부문 별 인증서 발급​EU는 탄소제거(직접 포집기술, DAC), 제품 내 탄소 저장(탄소를 활용한 콘크리트, 탄산음료 제조 등), 농업을 통한 탄소격리(농경지의 탄소 흡수능력 제고 등), 농업을 통한 탄소감축(측산업 등 분뇨 관리를 통한 탄소감축 등) 4가지 인증 부문을 도입하고 인정서는 부문별로 발급할 계획​2) COP28, 단일 탄소배출권시장 개설 불발. 자발적 시장 재부상 가능성​COP28에서 당초 유엔 감독하의 국제탄소시장 출범에 대한 합의가 예상되었으나, 각국의 의견차이로 오히려 자발적 탄소시장의 신뢰성 해결에 대한 방법론이나 탄소 포집 기술 등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하였음.​​7. 탄소시장에서 블록체인 활용 솔루션​○ 탄소시장에서 블록체인의 잠재력과 가능성​블록체인 기술은 그 고유한 특성으로 탄소시장의 주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인공으로 자주 거론되고 있으며, 실제로 이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음. 1) 프로젝트 개발 및 검증​블록체인 기술은 모든 프로젝트 문서, 검증보고서, 환경 영향평가 등의 데이터의 영구적 저장 및 불가변성을 보장하며, 이를 통해 처음부터 프로젝트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이러한 투명성 보장은 투자자, 규제기관, 대중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가 프로젝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프로젝트의 신뢰를 높일 수 있음. ​2) 탄소 배출권 발행​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탄소크레딧이 발행되면 해당 데이터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각 배출권이 실제 배출량 감축을 나타내게 됨.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컨설팅 이용한 토큰화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간소화된 발행 프로세스가 가능해짐. 중개자의 필요성과 거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기대​3) 모니터링, 보고 및 검증 (MRV)​블록체인은 MRV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여 배출량이 정확하게 기록되고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탄소크레딧의 신뢰성을 높임.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은 하나의 권위에 있는 출처에 의존하지 않고도 여러 당사자가 데이터를 제공하고 배출량 감축을 검증할 수 있는 보다 투명한 MRV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함. ​4) 탄소배출권 거래 ​토큰화된 크레딧은 그 거래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됨. 구매자와 판매자가 탄소크레딧의 출처와 소유권 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가 높아짐. 스마트 컨트랙트는 즉각적이고 안전한 거래를 촉진하여 크레딧이 만료 시 자동으로 소멸되도록 함으로써 이중 계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블록체인의 불가변성, 투명성, 탈중앙화는 프로젝트 개발부터 탄소크레딧 거래에 이르기까지 탄소시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함. ​​○ 지속되는 신뢰성의 문제​블록체인 기술이 발행, 거래, dMRV 과정에서의 정확성, 신뢰성을 개선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나, 블록체인 기술 만으로 자발적 탄소배출시장(VCM)의 파편화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 ​VCM은 프로젝트 시작과 검증부터 최종 크레딧 거래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가 자체적인 규칙과 표준에 따라 운영되는 등 매우 세분화 되어있음. 신뢰성 문제는 탄소크레딧 프로세스 각 단계에 걸친 파편화된 신뢰에서 비롯함. 이전 단계에서 확립된 신뢰성이 후속 단계에서도 이어질 것이라는 신뢰성이 보증되지 않음. ​프로세스의 신뢰성 외에도 탄소 크레딧 프로젝트 자체의 신뢰성 문제도 존재함. 그린워싱, 추가성과 같은 상위 차원의 문제에 대한 신뢰성이 선제적으로 확인돼야 함.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이 VCM 내의 특정 문제 해결에는 매우 유효하지만 탄소 크레딧 프로젝트 자체의 근본적인 신뢰성을 담보하지는 못함. 따라서 신뢰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보다 통합된 접근 방식과 구속력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함. ​​○ 통합적인 기술 접근의 필요성VCM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AI, IoT의 기술 통합을 고려할 수 있음. 통합적 기술은 탄소 상쇄 프로젝트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 동안 단일의 신뢰성을 구축함으로써 VCM 전반의 투명성, 효율성,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1)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을 위한 IoT​IoT 디바이스는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환경 모니터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 탄소상쇄 프로젝트 내에 직접 배치된 디바이스는 탄소격리 활동, 바이오매스 변화, 기타 관련 환경 매개변수에 대한 정확하고 세분화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음. ​이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입력되면 프로젝트의 영향에 대한 검증 가능한 기록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AI의 분석 기능을 통해 데이터 효용이 더욱 강화됨. ​2) 투명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블록체인은 통합 시스템에서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역할을 함. 블록체인의 불가변성은 탄소크레딧 거래 또는 프로젝트 검증과 관련된 데이터가 일단 기록되면 변경할 수 없게 함으로써 전체 프로세스의 무결성을 보장함.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은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한 감사 추적을 가능하게 함. 탄소크레딧의 출처, 이전 및 소멸을 공개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중 계상과 그린워싱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음. ​3) 프로젝트 평가와 분석을 위한 AI​AI는 분석 및 예측 모델링을 제공해 블록체인을 보완할 수 있음. ​AI알고리즘은 패턴을 식별하고 결과를 예측하여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 환경 영향, 개선이 필요한 잠재적 영역에 관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음. ​IoT, 블록체인, AI의 시너지는 각 기술이 서로의 강점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 IoT가 프로젝트 지역으로부터 탄소 배출/감축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데이터로 송신블록체인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와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검증할 수 있는 안전하고 투명한 플랫폼을 구축AI는 IoT가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해 프로젝트 성과를 평가하고 예측할 수 있는 분석 도구를 제공​4) 이상적인 End-to-End 프레임워크VCM End-to-End 프레임워크가 이상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음. 프로젝트 개발부터 측정, 보고, 검증을 거쳐 등록 및 최종 거래에 이르기까지 탄소 크레딧 라이프사이클의 모든 단계에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 ​블록체인, AI, IoT기술의 통합으로 뒷받침되는 이러한 플랫폼은 모든 프로세스가 투명하고 검증 가능하며 효율적일 수 있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함. ​통합 대시보드, 블록체인-장부 통합, AI 기반 분석,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IoT, 거래 간소화, 규제 준수 및 표준화, 이해관계자 참여 ​5) 플레이어간 상호 연결 서비스의 필요성VCM 내의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은 당사자들 간의 상호운용성, 상호연결성을 촉진해야 함.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시스템, 플랫폼, 이해 관계자들 간의 협력을 위한 메커니즘과 표준이 필요함. ​표준화된 프로토콜, API통합, 협업 플랫폼, 레지스트리간 연계, 탈중앙화 네트워크, 스마트계약, 역량 강화 및 교육 등​​8. 블록체인 기술 적용 사례​1) Verra의 디지털 MRV​Verra는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실시간 데이터 수집을 위한 IoT 등 각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dMRV 프레임워크를 시범 운영 중임. 해당 파일럿 프로그램을 활용해 탄소측정, 보고, 검증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블록체인 기술 기업, 위성 이미지 제공업체, IoT 기기 전문가 등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면서 투명성, 정확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2) Aircarbon Exchange (ACX)​싱가폴의 ACX는 블록체인을 통합하여 탄소크레딧 거래의 투명성과 보안을 보장하고 참여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음. ​​○ BIS의 Project Genesis 2.0​제네시스 2.0은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IoT 등의 기술을 활용해 녹색 금융을 위한 end-to-end 솔루션을 개발하고 시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Smart Contract-based Carbon Credits attached to Green Bonds” 보고서에서는 그린본드의 수명주기 추적 및 관리에 IoT와 탄소크레딧,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소개하였음. ​혁신 기술을 사용할 경우 그린본드 뿐 아니라 탄소크레딧 발행 시장에서도 투명성과 신뢰성이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음. ​1) 기존 그린본드 시장의 한계​그린본드는 환경 블록체인 컨설팅 및 기후개선 프로젝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고안된 금융상품임. ​기존의 그린본드 시장은 그린워싱 및 추가성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음. 지금까지 이러한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는 명확한 솔루션이 부재했음. ​2) 새로운 접근 : 그린본드 + 검증된 탄소크레딧프로젝트 제네시스 2.0은 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 IoT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그린본드의 문제를 해결하고 탄소크레딧 시장의 고질적 문제인 신뢰성, 투명성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소개. ​채권을 발행하는 시점에 그린본드에 탄소크레딧 청구권(MOI)이 첨부됨. MOI는 채권 만기 시 탄소크레딧을 받을 수 잇는 청구권임. 그린본드 + MOI 투자자는 보유 기간 동안 정해진 일정에 따라 채권에 대한 이자와 탄소크레딧을 수령. ​그린본드 + MOI는 블록체인에서 토큰화되고 탄소크레딧의 발행, 등록, 지급 등의 과정이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이뤄짐. ​3) End-to-End 솔루션 프로토타입프로젝트에 참여한 컨소시엄은 분산원장, 스마트 계약, IoT를 활용하여 그린본드 금융을 위한 End-to-End 솔루션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음. ​4) End-to-End 프레임워크의 기대효과 ​(프로세스 간소화) 크레딧의 최초 발행부터 추적 및 전달에 이르기까지 크레딧 발행 및 관리 프로세스의 모든 측면을 통합함. ​(투명성 및 신뢰도 향상) 블록체인 및 IoT와 같은 기술을 활용하는 기술 통합 프레임워크는 환경 영향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의 투명성을 향상시킴. ​(확장성 증대) 기본 인프라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더 많은 프로젝트와 참여자를 포함시킬 수 있음. ​(리스크관리) 통합 솔루션은 여러 중개기관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여 탄소 크레딧 지급 및 관리와 관련된 거래 상대방 위험을 최소화함. ​5) End-to-End 프레임워크의 탄소시장 적용 가능성​프로젝트 제네시스 2.0은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 IoT를 결합해 기존 그린본드 시장의 신뢰성 문제를 개선하는 엔드투엔드 프레임워크를 소개하였고, 해당 접근 방식은 그린본드 발행 뿐 아니라 탄소크레딧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에도 적용이 가능함. ​초기 자금 조달시점에서 프로젝트는 탄소크레딧 청구권을 발행하여 투자자에게 지급하고 프로젝트 현장에서 실제 탄소상쇄 여부를 IoT 디바이스 등을 통해 실시간 블록체인에 기록함. 기록된 상쇄 실적을 바탕으로 청구권 보유자에게 검증된 탄소크레딧이 지급되고 이 과정이 스마트 컨트랙트로 이뤄진다면 제3자의 검증 없이도 자산의 신뢰도를 담보할 수 있음.​​​​※ 부산시, ‘블록체인 활용 부산항만 탄소중립 플랫폼 구축사업 (부산광역시 보도자료, 2023. 06. 19)​산업통상자원부(한국에너지공단) 주관 공모에 누리플렉스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 ‘탄소중립플랫폼 구축사업’추진​신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부산항만 및 산업시설 탄소중립에 활용하는 운영시스템 구축부산항만 및 산업시설에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보급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권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잉여전력 거래로 전력 절감, 안정성 문제 해소 및 부가가치 창출​​​​※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 기술 및 가상자산의 결합 (자본시장포커스, 2022. 15호)​탄소배출권 거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탄소배출권 시장은 제한된 공급량, 낮은 거래 접근성으로 인한 유동성 부족과 불투명성 등의 문제가 있음. ​블록체인 기술 활용이 확대되면서 탄소 배출권과 블록체인 기술 및 가상자산의 결합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성, 투명성 등은 탄소배출권 거래에 대한 향상된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고 이중 계산을 방지할 수 있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을 개선하여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음.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고 탄소배출권 기반 가상자산의 등장과 탄소배출량 감소에 따른 보상체계로서 가상자산을 활용하는 등의 사례가 증가하는 중. ​​○ 탄소배출권 시장의 제한된 공급량, 낮은 거래 접근성으로 인한 유동성 부족과 불투명성​탄소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글로벌적 도입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음. 탄소배출권은 할당량(allowance)과 크레딧(credit)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권 총량을 설정하여 각 기업에 할당하면 할당된 범위 내에서 배출을 허용하고 여분이나 부족분을 다른 기업과 거래할 수 있는 제도임. ​탄소배출권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지만 제한된 공급량과 배출권의 가격 및 거래내역에 관한 투명성에 한계가 있음. ​공급이 제한적이고 인프라의 미비로 접근성이 낮고 배출권의 불투명한 가격결정 및 거래내용으로 가격 비교와 거래 추적이 어려움. ​​○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 기술 및 가상자산의 결합이 대안으로 주목​탄소배출권 거래의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국제적 논의가 진행 중이고, 금융투자회사들은 투자자를 위한 다양한 상품 개발을 하고 있음. ​탄소배출권 거래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거래의 안정성 및 투명성의 향상과 유동성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탄소배출권을 가상자산과 연계하면 투자대상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개인이나 기업의 투자가 용이해짐. ​​○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성, 투명성은 탄소배출권 거래에 대한 추적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중 계산을 방지 ​탄소배출권의 국가, 기업, 개인 등 다양한 주체 간 거래에 있어 중앙화 된 관리 주체가 없어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으로 효과적인 연계가 가능​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성은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상에서 기록하고 추적하는 탄소배출권 이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해주며, 거래의 투명성을 강화. ​P2P 재생에너지 거래 플랫폼으로 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토큰이나 가상자산을 사용하여 재생에너지를 구매, 판매 또는 교환할 수 있음. ​​○ 블록체인과 탄소배출권 결합에 대한 글로벌적 움직임. ​미국-EU 무역 기술위원회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온실가스(GHG)를 측정하고 활용하기 위한 잠재적 도구로 인식​일본 환경부는 재생에너지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 중에 있음. Power Sharing이 블록체인 플랫폼을 관리하고, 여러 에너지기업과 소프트뱅크가 참여 중​​○ 탄소배출권 기반 가상자산의 등장과 탄소배출량 감소에 따른 보상체계로서 가상자산을 활용 ​탄소배출량 관련 데이터 보관 및 거래 시스템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영국 탄소배출권 거래소 CTX는 미국 블록체인 기반 기업인 클라이밋 코인과 계약을 체결​2022년 1월 기준, 비트코인과 연계된 탄소배출권이 1,700만여개이며, 다양한 가상자산과 탄소배출권이 결합되어 거래 중에 있음. KlimaDAO는 자체 가상자산 토큰을 통해 투자자들이 탄소배출권 사업에 참여하고 있음. 미국의 MOSS는 탄소배출 토큰을 발행GreenTrust라는 가상자산과 탄소배출권을 위한 이더리움 토큰인 MCO2도 상장되어 거래 중삼성전자는 탄소배출권 기반 가상자산 업체인 Flowcarbon에 블록체인 컨설팅 투자 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회사명 : ㈜창의와날개 주소 : 경기도 화성시 현대기아로 830번길 25-14 사업자 등록번호 123-86-46360 대표 : 한상욱 전화 : 031-429-720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0-안양동안- 1949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윤혜정

Copyright © 2021 ㈜창의와날개. All Rights Reserved.